✉️ 10~12개국에 관세 서한 발송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월 4일부터 시작해, 약 10~12개 국가에 새로운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7월 9일의 마지막 유예일을 앞두고 보내는 경고 메시지이자, 일방적 관세 부과의 예고장입니다.
🎯 서한, 협상인가 압박인가?
트럼프 대통령은 실질적인 교섭 중단 선언과 다름없는 행보를 보였습니다.
관세 서한은 **유예 종료일(7월 9일)**을 앞둔 성급한 조치로, 협상 연장보다는 압박 조치로서의 의도가 더 강해 보입니다.
📊 세율 범위는 10%~70%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의 경제 상황과 무역수지에 따라 최저 10%에서 최대 70%까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하루 중엔 30% 언급 → 70%까지 확대 가능성도 열어두는 등, 상위관세의 위협을 강조.
📅 시행은 8월 1일부터
이 서한은 단순 경고가 아닌, 정식 관세 부과 통보입니다. 실제 관세는 8월 1일부터 부과될 예정이며 그때부터 미국은 관세 수익을 집계하기 시작합니다.
💥 스펙트럼 넓은 관세…누가 대상일까?
- 60~70% 고세율 대상은 무역 적자 규모가 큰 국가들로 예상됩니다.
- 반면 10~20% 기본 관세는 대부분 국가에 적용될 전망입니다.
- 미국 재무부는 약 100개국이 10%만 부과받을 것이라 밝혀, 차등적 관세 전략을 취할 후보군은 명확히 구분됩니다.
📉 시장 반응과 경제 전망
- S&P 500 선물과 달러가 하락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이미 감지되고 있습니다.
- 아시아·유럽 주요 지수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시장은 즉각적 반응을 보였고, 코스피는 이미 2% 이상 하락했습니다.
-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금리 정책→기업 실적 부담의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타협보다 경고 선택
- 관세 유예(4월 2일 “해방일” 이후 90일)를 연장하지 않고, 서한을 통해 '압박 우선' 전략을 채택한 모습입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복잡한 무역 협상 대신, 서한 한 장으로 통보하는 방식이 "훨씬 간단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한국의 대응 전략
- 우리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을 긴급 파견해 관세 유예 연장 협상을 모색 중입니다.
- 하지만 이번 서한이 예고하는 '협상 중단 후 관세 부과'는 우리 수출 경쟁력에 직격탄이 될 수 있어, 향후 관세율과 협상 타임라인 예측이 중요합니다.
✅ 요약 및 전망
- 서한 발송은 협상을 위한 카드가 아닌, 압박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10~70%의 폭넓은 관세율은 글로벌 공급망에 광범위한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는 위협입니다.
- 시장 반응과 정책 대응—특히 금융시장 움직임과 한국의 협상 전략—이 향후 흐름을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눈앞 닥친 트럼프 '관세 서한'…귀국편도 안잡고 '긴급 방미' | JTBC 뉴스
[앵커] JTBC 뉴스룸을 시작하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과 교역하는 주요 국가들에 '관세 서한'을 보내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대미 수출품에 무거운 세금을 물리는 상호관세, ...
news.jtbc.co.kr
트럼프 "4일 10~12개국 관세 서한…관세율 10~70%"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12개국을 상대로 4일께 관세 서한을 보내겠다고 예고했다.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 시간) 온라인 중계된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의
www.newsis.com
'경제, 시사, 상식, IT > 국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머스크, 다시 고개 든 트럼프 법안 비판…‘완전히 미친 짓’ (3) | 2025.07.06 |
---|---|
🇺🇸 트럼프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 독립기념일 서명 완료…GOP에 폭풍 칭찬 (8) | 2025.07.05 |
🧭 시진핑은 끝났다? 중국에서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1) | 2025.07.04 |
⚔️ GPT-5 아닌 AGI가 판을 바꾼다… OpenAI·MS 숨은 전쟁 (6) | 2025.07.04 |
🧪 프랑스 뮤직 축제, 주삿바늘 테러에 145명 찔렸다…SNS 공포 확산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