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하반기, 코스닥 상장사들 사이에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예고한 ‘상장폐지 기준 강화안’**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질서 정리’지만, 실제로는 수백 개 기업의 생존이 달린 문제입니다.
🔍 어떤 기준이 어떻게 바뀌나?
금융위원회가 지난 1월 발표한 **‘상장폐지 기준 강화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는 상장유지 기준이 대폭 상향됩니다.
- 시가총액 요건:
- 현재 40억 → 2026년 150억 → 2028년 300억
- 매출액 요건:
- 현재 30억 → 2027년 50억 → 2029년 100억
특히, 매출액 기준은 수년간에 걸쳐 천천히 올리겠다는 계획이지만, 이제부터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거래정지 후 복귀가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 지금도 벌써 탈락 위기 기업은 수백 개
코스닥 기업 1713개 중,
- 시가총액이 300억 원 미만인 기업: 177개사 (10.3%)
- 매출액이 100억 원 미만인 기업: 223개사 (13.0%)
2029년 요건을 미리 적용해본다면 10~13% 기업이 상장폐지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매출이 100억에 못 미치는 기업은 사실상 영업이익을 낼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코스닥 시장에서 “이탈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대응은? ‘지금 당장’이 핵심
코스닥협회 진성훈 그룹장은 이렇게 조언합니다.
“2029년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습니다. 지금부터 IR, 공시 강화, M&A 검토 등을 통해 실질적 개선 노력을 보여야 합니다.”
남광민 회계사(법무법인 린)는 더 직설적으로 말합니다.
“거래정지 상태에서 매출 기준 미달이면 복귀는 매우 어렵습니다. 앞으로는 30억이 아니라 100억이 기준입니다.”
요약하자면,
- 시가총액은 유상증자나 최대주주 매입으로 대응 가능
- 매출액은 M&A, 신사업 진출 등 실질 개선 없이는 충족이 어려움
🧾 감사의견도 한 번만 미달이면 위험
기존에는 감사의견 '한정'을 받아도 1년 개선기간이 주어졌지만,
앞으로는 2년 연속 비적정 의견 시 즉시 상장폐지됩니다.
- 기업심사 절차도 3단계 → 2단계 축소
- 과거엔 형식적 사유부터 검토 → 앞으로는 형식+실질 심사 병행
즉, 대표이사 횡령 같은 사고가 나고 재무제표도 문제라면
"둘 중 하나라도 해결 안 되면 바로 퇴출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 마무리: 코스닥도 옥석 가리기 시작됐다
한마디로 “무늬만 상장사, 실속 없는 기업은 물러나라”는 시그널입니다.
자본시장 구조개선이라는 이름 아래 IPO, 유지, 폐지 전 과정이 정교하게 관리되는 체계가 잡히는 중입니다.
생존을 원한다면 지금부터 경고등을 켜야 합니다.
"매출 100억 못 넘기면 상장폐지"…코스닥, 지금 움직여야 산다
금융당국이 내년부터 주식시장 상장폐지 관련 규정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기준에 미달하는 코스닥 기업은 개정안 적용 시점보다 먼저 대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조언했다. 코스닥
v.daum.net
'경제, 시사, 상식, IT >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상법 개정 앞두고 자진 상장폐지 러시…소액주주들의 분노 (1) | 2025.07.10 |
---|---|
📚 경기도 ‘독서포인트제’ 시작…책 읽으면 지역화폐로 돌려받는다 (2) | 2025.07.09 |
💼 내 돈 넣으면 정부도 돈 넣어주는 연 9.54% 적금 청년도약계좌, 7월 가입 운영 (5) | 2025.07.07 |
🏠 거래 멈춤, 풍선효과…‘6억 대출 한도’ 부동산 시장 대혼란 (5) | 2025.07.06 |
🚀 소상공인 꿀지원 3종 세트! 공과금부터 배달비까지 한방에 덜어준다 (7)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