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4일(화) 미국 S&P 500 지수 기준, 상승률과 하락률이 가장 컸던 종목 10개를 종가, 변동률, 관련 ETF와 함께 정리합니다. 미국 증시는 중동 휴전 기대, 유가 급락세 이어짐, 그리고 연준의 대기 모드 발언의 영향을 받아 1%대 강한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나스닥100은 신고가를 경신하며 기술주가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 주요 지수 마감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JI): +1.19% 상승, 43,089.02 마감
- S&P 500 (SPX): +1.11% 상승, 6,092.18 마감
- 나스닥 종합지수 (IXIC): +1.43% 상승, 19,912.53 마감
- 나스닥 100: 1.5% 상승, 사상 최고 종가 기록
🔺 상승률 상위 10종목
순위 | 종목명 | 티커 | 종가 | 등락률 | 주요 사유 | 관련 ETF |
1 | Coinbase | COIN | $344.82 | +12.1% | 암호화폐 시장 반등 수혜 | ARKW, BITQ |
2 | Enphase Energy | ENPH | $38.38 | +11.1% | 재생에너지 강세 흐름 타고 상승 | TAN |
3 | DexCom | DXCM | $87.57 | +9.7% | 의료 기기/헬스케어 실적 기대 | XLV, IBB |
4 | Carnival | CCL | $25.70 | +6.9% | 여행 수요 회복 기대 | KRE, XLY |
5 | AMD | AMD | $138.43 | +6.8% | 반도체 업황 반등 | SOXX, QQQ |
6 | Intel | INTC | $22.55 | +6.4% | 반도체 업종 반등 기대 | SOXX, SMH |
7 | Applied Materials | AMAT | $180.18 | +4.8% | 장비 수요 회복 기대 | SMH, SOXX |
8 | Micron Technology | MU | $127.91 | +4.8% | 메모리 업황 개선 기대 | SOXX, SMH |
9 | Super Micro | SMCI | $42.84 | +4.8% | 기술주 반등 흐름 함께 상승 | QQQ |
10 | Lam Research | LRCX | $95.63 | +4.4% | 장비주 회복 조짐 | SOXX |
🔻 하락률 상위 10종목
순위 | 종목명 | 티커 | 종가 | 등락률 | 주요 사유 | 관련 ETF |
1 | Advance Auto Parts | AAP | $47.54 | –9.5% | 소비재 조정 및 실적 우려 | XLY |
2 | Occidental Petroleum | OXY | $42.48 | –3.8% | 유가 급락 영향으로 에너지 약세 | XLE |
3 | O’Reilly Automotive | ORLY | $89.18 | –2.3% | 소비 둔화 우려 | XLY |
4 | Newmont Corp. | NEM | $58.09 | –2.3% | 금값 하락 여파, 원자재 약세 | GDX |
5 | Huntington Ingalls | HII | $231.63 | –2.3% | 방산 수요 조정 우려 | ITA |
6 | Tesla | TSLA | $340.47 | –2.4% | 단기 조정, 기술주 일부 차익실현 | QQQ, ARKK |
7 | ConocoPhillips | COP | $89.39 | –2.5% | 유가 하락 여파 | XLE |
8 | Lockheed Martin | LMT | $460.20 | –2.6% | 방산주 수요 둔화 | ITA |
9 | Raytheon Technologies | RTX | $141.85 | –2.7% | 방산/항공 종목 약세 | ITA |
10 | ExxonMobil | XOM | $108.34 | –3.0% | 유가 하락에 따른 실적 우려 | XLE |
🧭 요약
- 상승 종목은 암호화폐(COIN), 반도체(AMD, INTC, AMAT, MU, LRCX), 에너지·의료(ENPH, DXCM) 등이 중심.
- 하락 종목은 유가 급락 영향을 받은 에너지주(OXY, COP, XOM), 방산·소비재 주도가 약세.
- ETF 선택: 기술주는 SOXX, SMH, QQQ, 암호화폐는 ARKW, BITQ, 에너지는 XLE, 방산주는 ITA가 주요 연결 지표.
🔍 핵심 요인
- 이스라엘‒이란 휴전 기대
- 두 나라 간 휴전 언급으로 지정학적 긴장 완화 → 리스크 자산 선호 강세
- 유가 급락
- WTI 기준 유가 6~15% 폭락하며 $64 후반대 마감
- 에너지주 약세에도 다른 섹터에 자금 유입
- 연준 파월 “관망 반복” 발언
- 인플레이션·관세 등의 정책 영향을 평가 중이라며 금리 인하 보류 의지 재확인
- FedEx 약세
- 실적 부진 예고로 시간외 거래에서 약세 관측
이러한 시장 동향은 투자 판단에 참고하시기 바라며, 관련 ETF를 통해 섹터별 투자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본 정보는 참고용이며,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 시사, 상식, IT >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헤지펀드, 5년 만에 최고 레버리지 - 금융주 매수 타이밍? (8) | 2025.06.28 |
---|---|
🏦 골드러시 역행, 한국은행은 왜 금 보유량을 늘리지 않을까? (5) | 2025.06.28 |
📉 비트코인 10만 달러선 붕괴 충격… 그 원인은? (5) | 2025.06.23 |
💰 월 70만 원씩 5년! 자산 5천만 원 도약 기회,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4) | 2025.06.22 |
💰 월 15만원 저축, 3년 뒤 1,080만원?!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완전 정리 (3)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