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I 도입에도 퇴근 후 업무 시간 증가
- 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AI 도입에도 불구하고 퇴근 후에 업무가 이어지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팀의 매니저는 상사가 퇴사한 뒤 퇴근 후에도 이메일·메신저로 팀원 업무를 챙겨야 했고, 결국 “버틸 수 없었다”고 회사를 떠났습니다. - WSJ는 글로벌 협업 확대와 회의 과다, 재택근무 환경을 지적했습니다.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자료에 따르면 오후 8시 이후 회의 참여 비율이 전년 대비 16% 증가, 밤 10시 이후 이메일 확인 인원은 직장인의 1/3에 달합니다.
2. AI 사용이 늘었지만 ‘가이드라인’ 미흡
- 갤럽 조사에서는 AI 업무 활용률이 21%에서 40%로 급증했으나,
조직 내 명확한 전략이나 활용 가이드라인은 절반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단순 업무를 AI에 맡기면서 일부 기업은 퇴근 후 업무 부담이 줄었으나,
별도 정책이 없으면 업무 자동화가 ‘시간 압박의 연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3. AI 시대 퇴근 후 업무 패턴 변화
- 한 취업 포털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70%는 주 1회 이상 퇴근 후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AI 덕에 보고서 작성 시간은 크게 줄었지만,
보고 요구 자체가 줄지 않아 퇴근 이후에도 보고서를 완성하려는 강박은 여전합니다.
4. 번아웃·디지털 과부하 심화
- 미국 퓨 리서치에 따르면 실제로 근로자의 약 2/3는 AI를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 Microsoft는 하루 평균 117통 이메일, 153건 업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등 디지털 과부하 상태임을 지적합니다.
- 이에 따라 번아웃 혹은 탈진 표현이 1년 새 32% 증가했으며,
“새벽 시간에 맞춘 예약 전송으로 직원에게 부담 주지 않는다”는 대응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5. 대응 전략: ‘경계 설정’과 AI 활용 병행
- AI 기반 광고사의 임원은 업무 캘린더에 ‘집중 업무 시간’을 사전 확보하고, AI로 문서 작성·정리 시간을 줄이는 방식을 소개했습니다.
- 핵심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 명문화된 퇴근 후 가이드라인, 일과와 비업무 시간의 경계 설정입니다.
✅ 요약
이슈 | 현황 | 대응 전략 |
퇴근 후 업무 증가 | 이메일·메신저·회의 → 밤에도 일 진행 | 퇴근 시간 이후 접근 정책 설정 |
AI 활용 확대 | 2년 내 활용률 2배 ↑ | 자동화는 좋으나 제도 정비 필수 |
디지털 과부하 | 메시지, 회의 잔량 많음 | 필터링·집중 시간 확보 |
번아웃 급증 | 탈진 언급 32% 증가 | 케어 문화 및 경계 회복 정책 |
🎯 독자 팁
- 직장인: AI 활용이 ‘퇴근 이후 완충재’가 될 수 있도록
- 집중 업무 시간 설정
- 퇴근 후 자동 메시지 비활성화
- AI 업무 보조 룰 도입을 권장합니다.
- 기업 조직:
- AI 도입 시 반드시 퇴근 후 모니터링 최소화 지침과
- 보고·회의 문화 개선 정책을 병행 수립하세요.
- HR·경영진:
- 디지털 웰빙 교육 도입,
- AI 활용 로드맵 + 직원 소통 강화 기조를 통해
- AI가 '업무 효율 도구'가 아니라 '24시간 감시 장치'가 되는 걸 막아야 합니다.
AI는 분명 업무 효율의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리함 뒤에 숨어 있는 추가 노동’을 경계하지 않으면, 정작 우리의 삶은 AI 시대에도 ‘8시간 이상’의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기술만큼 중요한 것은, 기술을 통제하는 우리의 규칙과 문화입니다.
AI 덕에 편해질 줄 알았더니…퇴근 후 또 일하는 직장인들
직장인들이 퇴근 후에도 업무에 시달리는 이른바 ‘두 번째 근무’가 일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실제 근무 환경은 오
marketin.edaily.co.kr
직장 내 AI 사용 두 배 급증, 그러나 명확한 지침은 제자리 > 아멘 매거진 | 아멘넷
제목을 눌러 내용을 확인하세요.
usaamen.net
52시간 新기업문화…단순업무는 인공지능에 맡기고 퇴근
[앵커] 주 52시간 근무제가 확산되는 가운데, AI 인공지능을 도입해 활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반...
news.kbs.co.kr
'경제, 시사, 상식, IT > 국내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산 집값 쇼크…해운대 아파트 10억 빠졌다니? (4) | 2025.06.24 |
---|---|
🌏 조계종 최초 ‘외국인 주지스님’ 탄생…‘젊은 불교’의 새 길 열다 (5) | 2025.06.24 |
🚨 경찰 단속 중 ‘뇌출혈’…킥보드 과잉 단속 논란 (2) | 2025.06.24 |
⚠️ 국민연금 ‘이중고’ 현실화…건강보험료와 세금까지, 실수령액 뚝 (6) | 2025.06.23 |
🏠 집값 뜨겁다! 안양·수원·화성·하남, 10억으로 집 못 산다 (6)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