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보조배터리 비닐백 규제 실효성 논란… 정부는 새로운 대안 고민 중

2025. 6. 27. 07:29

보조배터리 비닐백 규제 실효성 논란
출처: 연합뉴스

 

1. 논란의 시작 — 왜 비닐백인가?

  • 올해 초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 이후, 국토교통부는 3월부터 보조배터리를 절연 비닐봉투에 넣어 기내로 소지하도록 지침을 변경했습니다.
  • 승객들은 이 비닐백을 통해 단락 사고 위험을 줄이고, 배터리를 기내 선반이 아닌 몸에 지니고 있도록 지시받았습니다.

 

2. 그런데…효과는 미미하고 부작용만?

  • 비닐백은 내부 합선이나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한다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 출국 심사 지연비닐 쓰레기 증가 같은 부작용만 양산하고 있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3. 정부가 새롭게 검토하는 대안은?

  • 국토부는 아래 2가지 대안을 새로 검토 중입니다.
    1. 온도감응 스티커: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바뀌는 스티커를 붙여, 발열 여부를 미리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함
    2. 방화백 도입:
      • 온도상승·화재 발생 시 배터리 폭발 충격을 흡수하고, 물을 부어 진화를 돕는 주머니
      • 항공기 1대당 2개씩 비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
  • 또한, 방염백(방화 기능 소재로 만든 개인용 백)도 좌석마다 비치하는 안이 고려됐지만, 실험 결과 효능이 부족해 우선 보류되었습니다.

 

4. 비닐은 그만, 절연 테이프는 유지

  • 새로운 방안 실행 시에는 비닐백 제공은 중단되지만, 여전히 절연 테이프를 사용해 단자를 막는 지침은 유지됩니다.

 

 

5. 국제 기준과의 조화도 고민 중

  • 국토부는 현재 100Wh 이하 5개, 100~160Wh 2개, 160Wh 초과는 금지라는 국제 기준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 향후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와 협의해 더욱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조정할 계획입니다.

 

✅ 요약

항목 내용
현행 규정 비닐봉투나 절연 테이프 사용, 배터리 수량·용량 제한
문제점 화재 예방 실효성 부족, 출국 지연·쓰레기 증가
검토 중 대안 온도감응 스티커, 방화백 비치, 절연 테이프 유지
국제 조율 ICAO 기준 검토 및 표준화 추진

 

 

🛫 독자 여러분을 위한 팁

  1. 항공 여행 시:
    • 배터리는 절연 테이프나 커버 사용,
    • 온도감응 스티커 부착 여부를 확인해 탑승하세요.
  2. 환경·소비자 입장:
    • 과도한 일회용 비닐 사용 문제절차 지연 등에 대한 공론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기술 중심 대안으로 환경 부담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합니다.
  3. 업계 및 정책 관계자:
    • 국제 기준과 호환되는 실용적 대책안전성과 비용 효율 사이 균형이 핵심입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강화···'수량·보관 제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강화···'수량·보관 제한'

www.ktv.go.kr

 

 

3월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보관 금지…비닐백 담아 소지해야

내달 1일부터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는 수하물 위탁이 금지되며, 기내에서도 선반에 보관할 수 없다. 다만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승객이 몸에 소지하 - 정책브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