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일시금 퇴직금 시대 끝?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청년 세대 분노 폭발
퇀
2025. 7. 5. 23:47
🏛️ ‘퇴직금’이 사라진다 –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 고용노동부는 모든 사업장(우선 300인 이상)에서 일시금을 폐지하고 퇴직연금만 지급하는 퇴직연금 의무화 계획을 국정기획위에 보고했습니다.
- 지급 요건도 “1년 근속 → 3개월”로 완화돼, 특고·플랫폼 노동자도 가입 대상이 됩니다.
- **단계적 적용 (300인→5인 미만)**과 퇴직연금공단 설립 등도 함께 검토되고 있습니다.
🧩 왜 퇴직연금 의무화를 추진하는가?
- 정기적인 노후소득 보장 및 국가 주도 운용을 통한 연금 수익률 제고가 목적입니다.
- 다만, 소규모 기업 부담과 금융권 구조조정 가능성이 현실적인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 430조 퇴직연금, 수익률 기대감 vs 금융기관 반발
- 수조 원대 퇴직연금 자산을 기금형으로 운용하고, 벤처 등에 투자하면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 연금공단 설립을 통한 전문 투자, 벤처 투자 시장 활성화 기반 마련, 수익률 상승 기대
- 그러나 기존 은행·보험사 등 민간 금융기관의 반발과 공단 운영의 투명성 확보는 과제입니다.
🔥 청년 세대의 분노 폭발
- 국회 연금개혁위는 “세대 간 재정 안정화를 위한 개혁”이라 설명하지만, 많은 청년층은 **“내 돈만 빼앗기는 분배 구조”**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 "청년 세대 고통이 '연대'가 되겠느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이젠 세대 연대가 깨진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 “세대연대 아닌 세대착취”라는 청년 세대의 분노는 단순 여론 이상의 사회갈등을 예고합니다.
- 정작 연금제도 개선 공론화는 20대조차 찬성했다는 국회 주장과는 상반된 지표입니다.
- 정치적 활용 vs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이라는 딜레마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 일각에서는 정치권이 세대 갈등을 이용하는 공학적 전략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 요약 및 의견
- 퇴직금→퇴직연금 전환은 노후 정책의 탁월한 진화로 평가받지만, 기업·근로자 준비 시간, 신뢰성·투자 전략, 청년층 이해와 공감이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 청년층의 반발은 단순한 반대가 아니라, 미래 세대의 불안과 불신이 반영된 현상입니다.
- 향후 연금 정책은 공론화 과정, 준비 기간, 세대 간 조정 메커니즘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단독] ‘목돈’ 퇴직금 끝, 퇴직연금 의무화
단독 목돈 퇴직금 끝, 퇴직연금 의무화 국민연금처럼 공적연금 추진 노후 소득 보장, 임금 체불 방지 퇴직연금공단 새로 만들기로
www.chosun.com
목돈 ‘퇴직금’ 사라지나…정부, 全사업장 ‘퇴직연금 의무화’ 검토
고용노동부가 모든 사업장에 퇴직연금 제도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43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 적립금의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퇴직연금공단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의무화 작업…
www.donga.com
[귀에빡종원] '국민연금' 청년 세대 분노가 '세대 연대' 깬다?…"청년 세대 고통이 연대인가요"
국민연금 개혁안 논란이 식기는커녕 더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개혁이다" vs "청년 세대 갈취 개악이다" 두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news.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