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한국인 관광객 북새통, 한국은 여행수지 적자
✈️ 일본은 오늘도 '한국인 행렬'
- 일본 가고시마·사쿠라지마 등 일본 여행 상품에 한국 관광객이 몰리면서, 여행사와 항공사들이 전세기·온천 패키지 상품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 일본 소도시마저 한국인 덕에 '인기 터짐'
소도시인 가고시마·이토·요코하마·아타미 등으로 향하는 한국인 여행객이 급증해, 항공사·여행사들은 소도시·온천 특화 상품을 출시 중입니다.
이에 따라 관광 산업도 지역 경제 활성화 수혜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한국의 여행수지, 매년 '적자 행진'
- 2024년 상반기 한국 **해외 여행 지출(143억 $)**이 **방한 외국인 지출(78억 $)**의 2배에 육박하며, 상반기 기준 65억 달러 적자 기록.
- 2024년 연간 적자 규모는 100억 달러 수준으로, 2023(약 97억)보다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 한국은 해외에 '돈만 펑펑'
2024년 한국인의 해외여행 지출은 264억 달러에 달하며, 방한 외국인 소비(164억달러)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관광수지 적자가 100억 달러를 넘었고, 이는 20년 이상 이어져온 만성 질환과 같습니다.
🏯 일본은 '관광 수지 흑자'
- 일본은 해외 관광객 유입 확대 덕분에 상반기 여행수지 흑자를 기록하는 등, 한국과는 정반대의 흐름을 보입니다.
⚖️ 나라 별 구조적 비교
항목 | 일본 | 한국 |
관광수지 | 흑자 (소도시 유치 성공) | 적자 지속 (지방 콘텐츠 부족, 중국 관광객 회복 지연) |
소비 패턴 | 현지 체류·소비 집중 | 즉흥 소비·면세 위주 방문, 체류 짧음 |
재방문율 | 높음(70% 이상 추정) | 낮음(약 55%) |
🎯 핵심 원인 분석
- 일본: 지방 소도시까지 관광 네트워크 확장 → 소도시 경제 활성화
- 한국: 스타 수급 지역(서울·부산·제주) 편중, 면세쇼핑 중심 소비형태로 수입 대비 효과 낮음
- 중국 관광객 회복 지연도 한국 관광수지 적자 지속에 큰 영향
🔮 향후 개선 방향
- 지방 콘텐츠 강화: 지역 축제, 온천, 역사 체험 확대
- 재방문 유도 전략: 체류형 장기 관광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외 시장 다변화: 인도, 베트남, 동남아 관광객 적극 유치 필요
✅ 결론
- 일본은 소도시까지 관광 체인을 확대하며 지속가능한 관광수지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 한국은 해외여행 지출이 너무 많아 수지가 악화되고 있으며, 지방 취약, 소비 구조, 외국인 전략 재정비가 시급합니다.
관광객 코로나 이전 97% 회복했는데…관광수지 적자는 ‘여전’
외국인 관광객이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지만, 관광수지 적자는 여전히 지속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관광공사 등에 따
m.kukinews.com
1402만명 해외 가더니... 한국 여행수지 65억 달러 적자
1402만명 해외 가더니... 한국 여행수지 65억 달러 적자, 김민주 기자, 한경BUSINESS
magazine.hankyung.com
한국 관광, 작년 한해 100억 달러 적자 났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약 1637만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의 93.5%까지 회복했다. 하지만 관광수지 적자는 오히려 더 커져 1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bizn.donga.com
[시시비비]관광수지 적자, 나쁘게만 볼 일인가 - 아시아경제
가을 국정감사 시즌만 되면 한국관광공사는 만성적인 관광수지 적자를 해결하지 못한 무거운 책임감에 고개를 숙인다. 해외관광객을 유치하고 관광수지를 개선할 ...
www.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