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게임도 중독 물질?” 성남시 공모전 역풍…업계·국내외 비판 쇄도
퇀
2025. 6. 26. 00:41
1. 발단 – 성남시 공모전의 ‘4대 중독’ 논란
- 성남시가 주최하고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주관한 AI 활용 **‘중독예방 콘텐츠 제작 공모전’**에서, 게임을 알코올·마약·도박과 함께 ‘4대 중독’ 항목에 포함시켰습니다.
- 그러나 공모전 홍보물에는 ‘인터넷게임’이란 문구가 명시돼 있어 공공기관이 게임을 ‘중독 물질’로 간주한 사례로 지적받았습니다.
2. 업계 반응 – "산업 모욕" vs "시대착오"
- 판교에 넥슨·엔씨 등 주요 게임사가 집결된 점을 지적하며, 업계는 “공공의 시각이 산업에 대한 이해 없이 시대착오적 인식을 반영했다”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 한국경제는 “게임사들이 수백억 원대 지방세를 납부하는 판교에서 이런 공모는 산업계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정”이라고 꼬집었고, 업계는 공모전 철회와 공식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3. 정부·지자체 반응
- 성남시와 센터 측은 이를 보건복지부의 정신건강사업안내 지침에 따른 것이라 해명하며, 인터넷게임 문구는 이후 ‘인터넷’으로 슬쩍 수정하고 공모를 강행했습니다.
- 하지만 게임·인터넷 관련 13개 협회가 보건복지부에 공개 질의서를 보내 “공모전 근거를 밝혀라, 낙인 조장 중단하라”며 대응에 나섰습니다.
4. 근거는? 과학적 근거·국제 기준 부족
- 오마이뉴스는 “게임은 법률·WHO ICD 분류상 중독물질이 아니며, 보건복지부 지침 근거도 모호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문체부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게임이 중독 유발인지 국제 학계도 논쟁 중이며, 과학적 근거 부족”**이라며 “중독물질로 포함시키면 산업 위축·문화 왜곡을 초래한다”고 공문으로 통보했습니다.
5. 해외 반응 – 레딧 "시대역행" 비판
- 레딧 등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이번 사안을 두고 “한국이 게임을 검열·제한하는 데 지나치게 공격적”이라며 “시대착오적 규제”라고 조롱했습니다.
- 한국의 게임 규제가 ‘셧다운제’ 등 과거 규제 사례의 반복이라는 비판도 국제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입니다.
✅ 요약
항목 | 내용 |
문제 | 게임을 4대 중독물질로 공모전 항목에 포함 |
업계 반발 | 공모전 철회·사과 요구, 정부 질의서 제출 |
근거 논란 | 과학적·법적·국제 기준 부족 지적 |
해외 비판 | “시대착오적 인식”, “검열 문화” 질타 |
👨💻 시사점
- 지자체 정책 담당자
- 과학적 근거 기반 정책 기획이 필수입니다.
- 산업 이해 당사자 의견 수렴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 게임 산업계
-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책 기획 단계부터 참여해야 합니다.
- 일반 시민·학부모
- 게임 이용에 대한 균형 있는 인식이 필요하며, 중독 vs 문화 콘텐츠 측면에서 사실 기반 토론에 주목해야 합니다.
- 정부(문체부·복지부)
- 후속 대응으로 중독 지침 재검토 + 산업계 소통 창구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성남시 ‘게임=중독’ 논란…업계 "게임성지 판교 무색"
성남시가 주최한 중독예방 AI 콘텐츠 공모전이 ‘게임 중독’을 주요 주제로 포함하면서 게임업계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게임을 알코올·약물·도박과 동일한 중독 범주로 취급한 점이 문제
zdnet.co.kr
'게임=중독' 공모전 논란 일파만파…게임협단체, 보건복지부에 공개질의 : zum 뉴스
"게임을 4대 중독에 포함한 근거 밝혀라" 6월 25일까지 답변 요구
news.zum.com
법에도 없는데... "보건복지부는 왜 게임을 중독이라고 하나"
최근 경기도 성남시가 'AI 활용 중독예방콘텐츠 제작 공모전'이라는 행사를 하겠다며 이 공모 주제 4대 중독에 '인터넷 게임'을 규정해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한국게임정책학회와 한국e스
www.ohmynews.com
게임이 중독 물질?...역풍 맞은 성남시 공모전에 업계도 '발칵' [지금이뉴스]
“이 나라는 이상해.” “게임에 대해 시대를 역행하는 인식을 갖고 있다.”최근 세계적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에 올라온 글들입니다.한국의 게임 규제를 둘러싼 논...
www.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