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뭉칫돈 퇴직금 사라지나?”…정부, 퇴직연금 의무화 도입 추진
퇀
2025. 6. 25. 09:11
1. 무슨 제도인가?
- **정부(고용노동부)**는 현재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는 방식 대신, 퇴직연금 수령을 전 사업장에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제도 개편을 추진 중입니다.
- 이에 따라 ‘뭉칫돈’처럼 한 번에 몰려나오는 퇴직금은 사라지고, 매달·연금 형태로 분할 수령하는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2. 주요 추진 방향
- 1년 이상 근무 → 3개월 이상 근무로 수급 요건 완화.
- 기업 규모별 순차 도입: 대기업부터 시작해 중소·영세사업장 순으로 5단계 시행.
- 퇴직연금공단 설립 검토: 기존 은행이나 보험사 중심의 운용체계에서, 공적중심 기금운영 및 수익률 향상 기능 부여를 위한 공단 신설 추진.
- 특고·플랫폼 노동자도 포함: 배달 라이더, 택배기사 등도 퇴직연금을 가입할 수 있는 길 마련.
3. 개편 배경: 왜 이런 움직임인가?
- 퇴직금 체불 문제: 2023년 퇴직금 체불액은 약 6,838억 원으로, 퇴직연금(452억 원)보다 훨씬 많음.
- 퇴직연금 체불은 상대적으로 적어, 연금 중심 개편을 통해 근로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목적.
- 노후보장 기능 강화: 장기적으로 연금 성격을 강화해 개인의 안정적 퇴직 생활을 보장하기 위함.
4. ✅ 기대 효과
- 부정 수급 방지 및 체불 위험 축소
- 특고·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연금 보호 확대
- 연금 기금의 안정적 자산 운용 및 수익성 제고 기대
5. ⚠️ 우려 사항
- 영세 사업장에는 비용 부담 우려
- 민간금융사 반발 예상(퇴직연금공단 설립으로 운용권력이 이동될 가능성)
- 단기근속자 장기 재직 보상 체계 약화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제기
6. 향후 일정과 전망
- 지금은 ‘검토 단계’: 구체적 법 개정 시기나 시행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 단계별 시행 계획이 논의 중이며, 중소기업 지원책 병행 여부가 관건입니다.
- 퇴직연금공단 설립 추진이 험난한 민관 협의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입니다.
✅ 요약
항목 | 주요내용 |
제도 개편 | 퇴직금 일시 수령 폐지 → 퇴직연금 의무 수령 |
대상 확대 | 1년→3개월 근무자, 특고·플랫폼 노동자까지 포함 |
시행 방식 | 기업 규모별 단계적 시행 예정 |
운용 방식 | 퇴직연금공단 설립하여 기금 수익률 향상 |
기대 효과 | 체불 리스크 완화, 노후 안정 강화 |
주요 우려 | 중소기업 부담, 공단과 민간금융사 간 갈등 |
🎯 블로그 독자 팁
- 근로자:
- 일시금 수령 기대는 줄어들지만, 체불 걱정 없고 노후 대비 연금 준비 강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기업주(특히 중소·영세사업장):
- 자금 유동성 대비 필요, 제도 시행 전 재무 구조 점검 및 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합니다.
- 특고·플랫폼 노동자:
- 3개월 이상 근무자라면 퇴직연금으로 장기적인 노후 대비 가능해집니다. 가입 조건 등을 미리 확인하세요.
- 정책 입안자·금융회사:
- 퇴직연금공단 설립은 재원 조정, 운용 권한 재분배 구도가 나올 수 있어, 민관 협의와 이해관계 조정이 핵심입니다.
'뭉칫돈' 생기는 퇴직금 사라지나…정부, 제도 개편 추진 중 [지금이뉴스]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고용노동부가 퇴직연금 제도를 전 사업장에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퇴직금 일시금 지급 방식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이를
news.nate.com
뭉칫돈 퇴직금 대신 퇴직연금 받는다…"3개월만 일해도 수령"
뭉칫돈 퇴직금 대신 퇴직연금 받는다…"3개월만 일해도 수령"[앵커]정부가 한번에 뭉칫돈으로 받는 퇴직금 제도를 없애고, 퇴직 ..
news.tvchosun.com
정부, 퇴직금 제도 개편 추진
현행은 1년 이상 근무 시에만 퇴직급여가 지급되지만, 이를 3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에도 지급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합니다.제작 : 안진영
www.ytn.co.kr
뭉칫돈 생기는 퇴직금 사라지나…정부 "'퇴직연금 의무화' 검토"
고용부, 최근 국정기획위에 퇴직연금 개선방안 보고 퇴직금, 체불위험 높아…퇴직연금 의무화·일원화 추진 퇴직연금공단 신설하고 특고·플랫폼 가입 추진도 검토 고용노동부 "검토 단계…어
mobil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