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IT

[IT/보안] ⚠️ 공항 USB 충전기로 개인정보 해킹당할 수 있다? 위험과 예방 팁 정리

2025. 6. 18. 07:56

공항 USB 충전기로 개인정보 해킹 가능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1. 무엇이 문제인가? — ‘주스 재킹(Juice Jacking)’

  • 주스 재킹이란 공공 USB 충전 포트에 악성 장치 또는 코드가 숨겨져 있어,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연결하면 보이지 않게 악성코드가 설치되거나 민감한 데이터가 직접 탈취되는 보안 위협입니다.
  • **TSA(미국 교통안전청)**는 최근 공항 내 USB 및 공공 와이파이 사용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했습니다.
  • FBI, FCC 등도 오래 전부터 여행 시 공공 충전기·와이파이 사용 시 주의할 것을 강조해 왔습니다.

 

 

2. 구체적 위협 사례

  • 공항·지하철·호텔 등 내부 USB 충전 포트에 악성코드 삽입 사례 증가.
  • 해킹 피해: 사진·계좌정보·비밀번호 탈취, 금융앱 정보 접근, 원격 조작·랜섬웨어 공격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Charging station 뒤쪽 케이블을 악성 케이블로 교체하거나, 포트 자체에 장치를 숨기는 방식도 알려져 있습니다.

 

 

3. 언제 특히 위험한가?

  • 공항 대기·환승 시, 지하철역 승강장, 행사장 로비, 호텔 로비 등 공공공간에서 무료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공격자의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 특히 충전 중 디바이스 잠금 상태 해제 후 비동시 연결만으로도 악성 코드가 설치될 수 있어, 단 1분 연결만으로도 위험이 있다고 FBI는 경고합니다.

 

 

4. 안전하게 충전하는 꿀팁!

  1. 커넥터 전용 충전 케이블 사용
    • 데이터 전송 회로 차단 케이블(충전 전용 케이블) 사용.
  2. USB 데이터 블로커(USB condom) 활용
    • 케이블 사이에 끼워 전력만 흐르고 데이터는 차단해주는 방식.
  3. 휴대용 배터리 팩(보조 배터리) 소지
    • 자체 충전기로 벽면 콘센트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
  4. 공공 와이파이 자제
    • 기내 결제나 금융 정보 입력은 모바일 데이터 또는 신뢰 네트워크 사용.

 

 

5. 팩트체크: 실제 사례 있었을까?

  • 공격 사례는 실수로 공개된 적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보안 연구나 모의실험 단계로, 공식 보고는 드물지만 잠재 위험은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 따라서 실질 피해보다 예방적 안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요약 한 눈에 보기

항목 핵심 메시지
위험성 공공 USB 충전기 연결 시 악성코드 설치 및 데이터 탈취 가능
권고 조치 데이터 차단 케이블·USB 블로커·보조배터리 사용이 안전
공공 와이파이 주의 신용정보 입력 금지, 암호화되지 않은 네트워크는 위험
기술적 팩트 실제 사건은 드물지만 공격 방법은 실존하며 대응이 필요

 

 

🎯 독자에게 한마디

공항에서 "하나만 충전하자고 했다가 내 스마트폰이 해킹될 수도 있다"는 사실, 아직은 생소하지만 현실적인 위협입니다.
휴대폰 배터리 부족 시 ‘충전 전용 케이블 + USB 데이터 블로커 + 보조배터리’를 조합해 사용하는 게 가장 안전한 여행 수칙이 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무료 충전·와이파이 썼다가 털려"...스마트폰 해킹 주의보 [지금이뉴스]

공항이나 호텔, 지하철역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료 USB 충전 포트를 무심코 사용했다가 스마트폰이 해킹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현지시각 지난 4일 ...

www.ytn.co.kr

 

“공항 USB 포트·와이파이 주의”…여행객 겨냥한 해킹 기승

여름 시즌을 맞아 공항 이용객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사이버 보안 주의보가 내려졌다.     교통안전국(TSA)은 최근 공항 내 USB 충전 포트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

www.koreadaily.com

 

 

“공항 충전기 함부로 쓰지 마세요”… 美 교통안전청이 경고한 이유는 - 매일경제

미국 교통안전청(TSA)이 공항을 이용하는 여행객들에게 공공장소에서의 무분별한 스마트폰 충전과 무료 와이파이 사용이 해킹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4일(현지

www.mk.co.kr